중국에서는 공산당(중공)의 엄격한 검열로 인해 민감한 키워드, 혹칭 ‘민감어’가 존재합니다.
민감어는 쾌적한 인터넷 공간을 위해 욕설, 비속어가 금지되는 것과는 다릅니다. 주로 정부나 공산당 비판에 쓰이는 표현을 사용하지 못하게 하기 위한 경우들이 많습니다. 중국은 공산주의 이기 때문에 인터넷 용어조차 검열을 받게 합니다.
처음부터 입력이 안 되거나, 일단 사용은 되지만 곧 자동으로 삭제되거나, 나중에 삭제되는 등 그 강도에 따라 몇 가지 형태가 유형이 존재합니다.
최근 부쩍 늘어난 중국의 민감어는 최고 지도자와 관련된 것들입니다.
중국을 탈출해 미국에서 중공의 검열제도를 폭로한 전 중국 인터넷 심사원 류리펑(劉力朋)씨에 따르면 시진핑 중공 총서기와 관련돼 검열대상 목록에 오른 키워드는 3만5476개였습니다.
자신을 지난 10여년간 인터넷 관련 기업에 근무한 중국판 트위터인 웨이보,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인 러스(樂視·LeTV) 등 민간기업과 중국 정부기관에서 검열업무를 담당했다고 밝힌 류씨가 에포크타임스에 제공한 문서에 따르면 시진핑 총 서기 관련 민감어는 3만5476개에 달했습니다.
민감어가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사용하는 어휘수를 능가하는 것은 단어들의 조합까지 함께 규제하고 있어서 입니다.
흔히 잘 알려진 황제, 불로장생 등 개별적인 단어 외에 다양한 단어 조합까지 규제하고 있어서입니다. 예를 들어 시진핑이 세력 기반인 저장성 출신 관료들의 집단 ‘저장방’(浙江幇)과 시진핑을 나타내는 단어를 조합한 ‘시보스’(boss)+’저장방’ 같은 표현들입니다.
반부패를 나타내는 단어 조합도 모두 민감어로 분류됐습니다. 칭찬이든 비판이든 정권과 관련된 단어들은 당국이 허용한 표현 외에는 아무것도 쓰지 못하게 하겠다는 의도가 엿보입니다.
류씨는 중공의 금지어에 대해서도 소개했습니다. 처음부터 아예 입력 자체가 안되는 것은 물론 사용하면 당국의 추적을 받거나 인터넷 차단까지 당할 수 있는 단어들입니다. 주로 톈안먼 사태, 파룬궁 등과 중공 당국의 치명적인 자국민 탄압과 관련됐습니다.
류씨는 해당 문서가 중국에 머물 당시 인터넷 감시부서에서 받은 것이라며 “특정한 시점에 조사·집계된 것으로 그때그때 정치적 상황에 따라 더 늘어날 수도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류씨는 표현의 자유가 크게 제약을 받다 보니 중국 네티즌은 창작의욕이 위축돼 자신이 일하던 동영상 업체들이 콘텐츠 수급에 어려움을 겪더라며 중국 업체들의 고충을 전하기도 했습니다.
'정치.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중 무역전쟁 냉전시대 보다 더 치열할것 (0) | 2020.07.27 |
---|---|
중국공산당 탈당하는 중국인들 (0) | 2020.07.26 |
추미애 국회내에서 국회의원 노려봐 (0) | 2020.07.26 |
박원순 전화번호 비밀번호 해제 (0) | 2020.07.22 |
민주당 백분토론 후 본심 드러내 (0) | 2020.07.19 |
댓글